본문 바로가기

시기능 & 시지각훈련9

눈-손 협응의 뇌과학 : 뇌는 어떻게 눈과 손을 연결할까? 이번 글은 Kandel의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5th Edition (2014, McGraw-Hill Education)을 한국어로 번역한 『신경과학의 원리』 5판 (2017, 범문에듀케이션)을 기반으로, 시각과 눈-손 협응(Eye-Hand Coordination)의뇌 기반 작용과 임상적 의미를 다루었습니다. 눈-손 협응이란 무엇인가? 눈-손 협응(Eye-Hand Coordination)은 눈으로 본 시각 정보를 뇌가 해석해 손을 정확히 목표로 움직이게 하는 과정입니다.우리가 공을 잡거나, 글씨를 쓰거나, 버튼을 누르는 일상의 동작은 모두 눈-손 협응의 결과입니다. 이 과정은 뇌의 시각 처리 시스템과 운동 제어 시스템이 긴밀히 통합되며 작동합니다. 눈-손 협.. 2025. 7. 5.
시각과 자세 : 눈이 몸의 균형을 만든다 시각은 단순히 ‘보는 기능’을 넘어 몸 전체와 상호작용하는 고차원적 감각 체계입니다. 눈으로 보는 행위는 머리의 움직임을 유도하며, 이는 몸통과 팔다리의 정렬에도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시기능 이상이 있는 경우 자세가 흐트러지기 쉽습니다. 이 글에서는 시각과 자세의 관계를 살펴보고, 시기능 이상과 관련된 자세 변형의 대표적인 유형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시각과 자세는 어떻게 연결되는가?✅ 눈은 중심축의 시작점이다 우리는 무언가를 보기 위해 자연스럽게 고개를 돌리거나 숙입니다. 이는 눈의 위치 변화가 곧 머리의 움직임으로 이어지고, 머리의 움직임은 척추와 몸통, 골반, 하지 정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뜻입니다. 이때 머리를 지지하고 정렬을 유지하는 중요한 구조가 있습니다. R.C.P.M. (Rectu.. 2025. 6. 28.
차지 증후군(CHARGE Syndrome) 아이의 시선을 바꾸는 첫걸음 : 시기능훈련의 필요성 “보이는 것과 볼 수 있는 것은 다릅니다.” CHARGE Syndrome(차지 증후군)은 단순한 유전 질환이 아닙니다. 차지 증후군을 가진 아동은 청각, 시각, 균형, 감각통합 등 여러 영역에서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습니다. 특히 시기능이상은 CHARGE 아동의 발달과 학습, 행동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조기 평가와 훈련을 통해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CHARGE 증후군이란?Coloboma, Heart defects, Atresia of the choanae, Retardation of growth/development, Genital abnormalities, Ear anomalies.CHARGE는 다음 여섯 가지 주요 증상의 앞 글자를 딴 조어입니다.Coloboma : 안.. 2025. 5. 13.
b d "왜 우리 아이가 글자를 자꾸 뒤집어 쓸까요?" 🔍 아이가 자꾸 글자와 숫자를 뒤집어 쓴다면? 난독증의 비밀과 시기능 훈련법 아이가 숫자 '6'과 '9', 글자 'b'와 'd'를 자주 혼동하고 있나요?이는 단순 실수가 아닙니다. 아이가 지속적으로 이런 현상을 보이면 난독증(Dyslexia)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난독증은 DSM-5(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5판)에 따르면 특정 학습장애(Specific Learning Disorder)의 하위 유형인 읽기장애(Reading Disorder)에 속합니다. 충분한 교육을 받았고 정상 지능임에도 최소 6개월 이상 단어 읽기와 철자 인지에 어려움을 겪을 때 진단됩니다(Shaywitz, 1998). 🎯 난독증의 정확한 정의 및 증상 (DSM-5 기준) 난독증은 다음의 주요 증상을 보입니다.단어를 정확히 읽.. 2025. 4. 11.
👁시지각 이상이 학습에 미치는 영향 시지각이란 무엇인가? 우리의 눈이 보내는 정보를 어떻게 이해할까요? 1. 시지각의 정의시지각(Visual Perception)은 눈을 통해 받아들인 시각 정보를 뇌가 해석하고 이해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단순히 보는 것뿐만 아니라, 본 것을 인식하고 해석하여 의미를 부여하는 복합적인 능력입니다.2. 시지각의 중요성 시지각은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글을 읽거나,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등 다양한 활동에서 시지각 능력이 필요합니다. 특히, 학습 초기 단계에서 시지각 능력은 문자와 숫자를 구별하고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3. 시지각의 주요 기능 ✔️ 형태 지각 : 물체의 모양과 구조를 인식하는 능력입니다. 이를 통해 글자의 형태를 구별하고, 사물의 .. 2025. 4. 7.
👁️ 우리 아이 학습 부진의 숨은 원인! 👁️ 17가지 시기능기술, 왜 중요한가요? 많은 분들이 시력 1.0이면 눈에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시력은 시기능기술의 단 한 가지 요소에 불과하며, 눈의 움직임부터 뇌로의 정보처리까지 포함한 17가지 시기능기술이 원활해야 학습, 스포츠, 일상생활에서 뛰어난 수행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행동발달검안 전문가들이 강조하는 17가지 시기능기술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 시기능기술이란?시기능기술은 단순히 보는 능력뿐 아니라, 눈의 움직임과 두 눈의 협응, 초점 조절, 시지각과 시각통합 등 다양한 요소를 포함한 총체적 시각 시스템의 능력을 말합니다.✅ 17가지 시기능기술 1. 안구운동통제기술 : 책을 읽을 때 눈으로 글씨를 추적하거나 또는 주시하고자 하는 지점으로 두 눈을 동시에 .. 2025.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