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기능 & 시지각훈련

눈-손 협응의 뇌과학 : 뇌는 어떻게 눈과 손을 연결할까?

by Vision Mom 2025. 7. 5.
반응형

 

 

이번 글은 Kandel의 Principles of Neural Science, 5th Edition (2014, McGraw-Hill Education)

을 한국어로 번역한 『신경과학의 원리』 5판 (2017, 범문에듀케이션)을 기반으로, 시각과 눈-손 협응(Eye-Hand Coordination)의뇌 기반 작용과 임상적 의미를 다루었습니다.

 

 

 

눈-손 협응이란 무엇인가?

 

 

사진출처 : https://valentinbosioc.com/top-5-hand-eye-coordination-sports-health-benefits/20208/

 

 

 

 

눈-손 협응(Eye-Hand Coordination)은 눈으로 본 시각 정보를 뇌가 해석해 손을 정확히 목표로 움직이게 하는 과정입니다.

우리가 공을 잡거나, 글씨를 쓰거나, 버튼을 누르는 일상의 동작은 모두 눈-손 협응의 결과입니다. 이 과정은 뇌의 시각 처리 시스템과 운동 제어 시스템이 긴밀히 통합되며 작동합니다.

 


 

눈-손 협응을 담당하는 뇌의 주요 경로와 기능

 

1️⃣ 시각 정보 분석과 경로화 : Dorsal stream과 Ventral stream

 

눈에 들어온 시각 정보는 시각 피질(V1)에서 1차로 처리된 뒤, 두 가지 경로를 따라 흐릅니다. 이 두 경로는 서로 다른 정보를 분석해 손의 움직임을 조율하는 데 기여합니다.

 

사진출처 :  https://digfir-published.macmillanusa.com/kolbintro5e/asset/img_ch15/kolb5e_fig15_03.html


 

🔹 Dorsal stream (“Where / How” 경로)

 

1. 경로

· V1 → V2 → MT(Middle Temporal area) → 두정엽(Posterior Parietal Cortex)

 

2. 기능

· 물체의 위치, 움직임, 속도, 방향 정보를 분석

· 손이 어디로, 어떤 경로로, 얼마나 멀리 움직여야 할지를 계획

 

3. 역할

· 움직이는 공을 잡을 때 공의 궤적과 속도를 계산

· 손이 정확한 공간 좌표로 뻗어 목표에 도달하도록 안내

 


 

🔹 Ventral stream (“What” 경로)

 

1. 경로

· V1 → V2 → V4 → 측두엽(Inferior Temporal Cortex)

 

2. 기능

· 물체의 형태, 색, 크기와 함께 그것이 무엇인지 식별

· 손이 물체를 잡을 때 손가락의 벌림 정도, 손의 모양 결정

 

3. 역할

· 컵처럼 둥근 물체라면 손가락을 넓게 펼쳐 잡기

· 연필 같은 가늘고 긴 물체라면 손가락을 모아 잡기

 

사진출처 :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Examples-of-human-grasp-gestures-the-ability-of-the-human-hand-to-adjust-its-shape-to_fig1_364939092
 

 

Dorsal stream과 Ventral stream은 각기 다른 정보를 분석하지만, 손의 움직임을 하나의 목표로 통합하는 데 협력합니다.


2️⃣ 운동 계획과 실행 : 전운동피질과 일차운동피질

 

시각 정보가 분석된 뒤에는 손의 움직임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운동계가 작동합니다.

 

사진출처 :  https://www.brainhq.com/brain-connection/the-anatomy-of-movement/

 

 

🔹 전운동피질 (Premotor cortex)

 

1. 기능

· 손의 경로, 방향, 손바닥의 각도, 손가락의 위치(얼마나 벌릴지)를 미리 설계

· 물체 특성과 위치에 맞게 손의 형태를 준비

 

🔹 일차운동피질 (M1: Primary motor cortex)

 

1. 기능

· 여러 근육(손가락, 손목, 팔꿈치, 어깨 등)의 움직임을 동시에 조율

· 손이 목표로 정확히 움직이도록 최종 명령을 내려 실행

 

2. 역할

· 단일 근육만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근육을 협력시켜 부드럽고 정확한 전체 움직임을 만들어냄

 


 

3️⃣ 정확한 움직임 조율과 미세보정 : 소뇌 (Cerebellum)

 

사진출처 : https://www.osmosis.org/learn/Cerebellum

 

소뇌는 손의 떨림을 억제하고, 손의 움직임이 빗나가지 않도록 미세하게 조정합니다. 만약 손이 목표 위치를 약간 벗어나거나 힘의 크기가 과하거나 부족하면 소뇌가 이를 즉시 감지하고 수정합니다.

 


4️⃣ 시선과 손의 동시 통합 : 상구와 응시제어 회로

 

손이 움직일 때는 항상 눈이 먼저 목표를 향합니다.

 

사진출처 :  https://www.kenhub.com/en/library/anatomy/superior-colliculus

 

 

·  상구(Superior colliculus) : 시선을 목표로 빠르게 이동시키는 홱보기(saccades)를 지휘

 

사진출처 :  https://www.flintrehab.com/pontine-stroke/?srsltid=AfmBOorI1xJGnAWPYVB2aMpuiuMp2nnHXETzOM5ZrNQQNLunRBMs_xn_

 

 

 

· 뇌교(Pons)와 소뇌 : 움직이는 목표를 따라 시선을 유지시키는 따라보기(Smooth pursuit)를 조율

 

이 덕분에 손과 눈이 같은 좌표를 공유하며 움직이고, 목표를 정확히 향하게 됩니다.

 


눈-손 협응 장애가 생기면?

 

 

 

 

 

✅ 물체를 잡으려 할 때 손이 목표보다 옆이나 위, 아래로 어긋남

 

✅ 손이 떨리거나 과도하게 힘이 들어감

 

✅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를 할 때 정확히 맞추지 못함

 

공을 던지거나 받을 때 타이밍이 어긋남

 

 

※ 두정피질, 소뇌, 기저핵 등 눈-손 협응 회로의 문제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눈-손 협응 강화 시기능훈련 예시

 

 

✅ 색깔이 뚜렷한 물체를 따라 손 뻗기

✅ 프리즘을 착용하고 목표물 잡기

 

✅ 움직이는 점을 눈과 손으로 따라가며 터치

 

✅ 다양한 방향, 높이의 목표를 손으로 가리키기

 

✅ 화면의 불빛에 반응해 빠르게 손 움직이기

 

 

 

결론

눈-손 협응은 단순히 눈과 손의 협력이 아니라, Dorsal stream, Ventral stream, 운동피질, 소뇌, 상구가 하나의 정교한 시스템처럼 긴밀하게 작동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은 학습과 훈련을 통해 점점 더 정밀해지며, 시기능 훈련은 이러한 뇌 기반 통합 시스템을 강화해 눈-손 협응을 개선하고 실생활에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